본문 바로가기
정보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 차근히설명

by ㈜님 2015. 9. 29.

이사를 하고 나서 확정일자를 안받아도 되는 상황이라면 굳이 주민센터에 방문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을 통해서 확인하시고 그대로 진행하시면 집에서도 간단하게 진행할수가있습니다.

이때 인증서가 꼭 필요하니 없는 분들은 주민센터에 방문을 하셔서 진행해 주셔야하는 점 참고해주세요. 인증서가 있다면 어려움 없이 다음 절차를 통해서 확인하시고 진행하시면 됩니다.



우선 신고할수 있는 홈페이지로 이동하시기 위해서 여기 로 가주시고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동하신 곳에보시면 메인페이지 - 자주찾는 민원에서 바로 해당 메뉴를 찾을수 있습니다.



그럼 유의사항을 꼼꼼하게 확인을 하셔야 하고 확정일자의 경우는 계약서를 가지고 주민센터에 직접 방문을 하셔야 합니다. 신청일 다음날부터 대항력이 발효되니 필요하신 분들은 꼭 가셔서 날짜 받아오셔야 합니다.



로그인을 하시거나 비회원으로도 가능하나 저는 이곳이 굉장히 유용한 곳이기 때문에 회원가입하시는것을 추천합니다.



그럼 구분을 선택해야 하는데 온가족 모두가 이사를 가는것인지 일부만 가는것인지를 선택해야 합니다. 




신청인 정보에서 세대주와의 관계를 선택해주시고 다음단계로 넘어가게 되면 주소지 정보를 입력하셔야합니다.




혹시라도 구분에 대해서 자세하게 모르겠다면 도움말이 있으니 내용을 확인하셔서 정확한 것으로 선택하셔야합니다.



신고서를 보시면 세대주 정보가 나타나게 되고 이사 가는 주소와 사유에 대해서 선택을 해주셔야합니다. 전출지 주소조회를 하게 되면 현재 내가 살고 있는 주소가 조회되니 이용하시면 됩니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세대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해야하는데 나를 제외한 가족구성원의 정보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혹시라도 초등학생이 있다면 배정정보를 작성하셔서 배정을 받으셔야 하고 자세한것은 주민센터에 문의하시면됩니다.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을 알아보았는데 아주 간단하게 집에서도 신청할수 있으니 확인하시고 진행해보세요.



댓글